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텃밭 가꾸기77

대파 모종 심는 시기 재배방법 대파 모종 심는 시기/파종시기,대파 재배방법/대파 병충해 방재대파 재배방법토양조건 대파는 충적토나 사양토가 적당하다. 토양산도(pH)는 5.7∼7.4인 중성에 가까운 토양에서 생육이 좋다. 묘의 생육에는 적당한 수분이 필요하지만, 일반적으로 토양의 과습은 뿌리의 발육을 저해하고 파의 전체적인 생육을 억제한다. 특히 육묘기를 제외하면 본포에서는 건조에 비교적 강하지만 과습에는 매우 약하여 과습의 해를 입기 쉽다. 습해는 온도에 따라 정도의 차이가 있다. 15℃이하의 저온에서는 18일 정도 다습(토양수분이 포화상태)이 계속 되어도 생육불량이나 뿌리의 고사현상은 발생하지 않지만 25℃이상의 고온에서 다습하게 되면 외엽에서 내엽으로 잎이 말라 들어가고 뿌리가 흑갈색으로 변해 고사하여 곧 전체가 고사하게 된다. .. 2024. 8. 2.
쪽파 심는시기(파종시기) 재배방법 남부지방 가을 김장쪽파 심는시기/파종시기,쪽파 재배방법/병충해 방제쪽파 재배방법 쪽파는 일반적인 대파보다 작고, 향이 더 강하며, 잎 부분이 부드럽다. 김장철에는 김치에 넣거나 장아찌를 담그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된다. 김장쪽파는 주로 김장김치에 들어가는 재료로 사용되며, 김치의 맛을 더해주는 중요한 재료 중 하나이다.  쪽파는 당질, 칼슘, 인, 철분, 각종 비타민 등이 많으며 파와 유사한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파보다는 먹기가 순하고 자극냄새가 적으며 파와 같은 용도로 이용된다. 약용으로는 감기, 두통 등에 쓰인다.  쪽파는 다른 채소에 비해 심는시기가 제한적이다. 이는 휴면성이라는 특성 때문인데, 휴면을 깨기 위해서는 30℃ 이상 되는 온도에 일정 시간 동안 노출되어야 한다. 이런 특성 때문에 .. 2024. 8. 2.
김장무 파종(심는)시기 재배방법 중부지방 가을 김장무 파종시기/심는시기,김장무우 재배방법김장무 재배방법무는 배추와 함께 우리의 주된 김장재료로 깍두기, 무말랭이, 단무지 등 한국인들의 식생활에 오랫동안 다양하게 이용되어 온 채소입니다. 무는 비타민 C가 풍부하며 뿌리의 디아스타제는 소화를 촉진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김장무 파종(심는)시기는 김장배추와 재배시기를 같이 가져가면 수월합니다. 즉, 가을에 파종하여 김장철에 수확하는 재배가 무난합니다. 그래서 보통의 텃밭에서 무를 재배한다고 하면 가을재배를 의미합니다. 무는 서늘한 기후가 오래 지속되는 지역이 고향이므로 이를 감안하여 재배합니다.  김장배추와 김장무는 파종시기를 너무 빨리하면 바이러스병과 뿌리마름병이 발생할 수 있고 늦더위에 생리장애가 나타날 수 있어 지역에 따라 적기에 파종하.. 2024. 8. 1.
김장배추 심는시기 파종시기 재배방법 중부 남부지방 김장배추 심는시기/파종시기,김장배추 재배방법김장배추 심는(파종)시기 재배방법재배환경 배추는 서늘한 기후를 좋아하는 채소로 가장 잘 자라는 온도는 18~20℃이고, 15~18℃에서 포기가 잘 든다. 그러나 생육 초기에는 높은 온도에서 잘 자라며 추위에 강하여 얼어 죽는 피해를 입는 온도는 영하 8℃ 정도이나 갑자기 추워지면 영하 3℃에서도 피해를 입을 수 있다.저온에 일정기간 노출된 다음 고온과 접하면 꽃눈이 올라와 정상적인 배추를 수확할 수 없으므로 주의해야 한다.배추는 뿌리가 깊게 뻗고 잔뿌리가 많으므로 토심이 깊고 물 빠짐이 잘 되는 토양을 좋아한다. 반면 건조에 약하므로 생육 초기인 8~9월에 가뭄이 올 경우에는 물을 대주어야 한다. 또한, 산성토양에서는 무사마귀병과 석회결핍증이 발생.. 2024. 7. 31.
당근 파종시기 재배방법 중부지방 남부지방 가을당근 파종시기,당근 재배방법당근 파종시기 재배방법당근은 녹황색 채소로 열에 조리를 하더라도 주황색깔이 변하지 않고 다양한 음식재료로 사용되어 집니다.특히 당근에 엄청 많은 카로틴 성분은 피부를 맑게하고 노화방지, 암예방, 암치료에 좋습니다. 특히 카로틴은 우리 몸에서 자연스럽게 만들어지지 않으므로 음식으로 보충해야 하는데, 녹황색 채소인 당근에는 풍부합니다. 당근은 비타민 A가 풍부하며 비타민 A는 지용성 비타민으로 기름에 볶아 먹으면 비타민의 흡수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또한 당근은 사과와 궁합이 좋은 음식으로 사과 속 비타민 C와 칼륨은 당근과 궁합이 잘 맞습니다.당근은 생으로 먹기도 하지만 착즙해 주스로 마시기도 합니다.  당근은 잎,뿌리 하나도 버릴것이 없는 인간에게 참으로 유.. 2024. 7. 31.
옥수수 수확시기 방법,옥수수 수확시기 아는 법 제주 초당 옥수수 수확시기 아는 법,옥수수 보관방법옥수수 수확시기 옥수수는 씨눈에서부터 수염까지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옥수수 씨눈은 필수 지방산인 리놀레산이 풍부해 콜레스테롤을 낮추는데 효과적이다. 알은 비타민 B, 칼륨 등 무기질이 풍부하고 식이섬유가 많아 변비 예방에 도움이 된다. 수염은 이뇨작용을 하는 메이신이라는 성분이 있어 부기를 빼는데 좋아 차로 많이 이용한다.사람이 먹는 옥수수는 주로 가공 이용성이 높은 곡실용과 찰옥수수, 단옥수수 등으로 이용되는 간식용으로 나눌 수 있다.옥수수에는 탄수화물과 섬유질, 항산화 물질 등 영양성분이 풍부하게 들어있다. 특히 비타민B 성분은 여름철 무기력증을 이기는 데 도움을 주며, 얼룩찰옥수수와 검정찰옥수수에는 항산화 활성이 높은 안토시아닌 성분이 함유돼 있다.. 2024. 7. 12.
감자 수확시기 보관법 중부지방 하지 감자 수확시기 보관법,감자 수확후 심는작물감자 수확시기 감자는 1년에 네 번 수확한다. 그중 6월이 제철이다. 6~7월은 노지봄감자, 8~11월은 고랭지 감자 수확시기가 되고 이 시기의 감자가 가장 맛이 좋다. 우리나라에서는 보통 하지가 지나면 장마가 시작돼 감자가 썩거나 너무 커지기에 이맘때 수확한 '하지감자'를 으뜸으로 친다. 예로부터 하지 무렵 감자를 캐 밥에 하나라도 넣어 먹어야 감자가 잘 열린다고 해 하짓날을 '감자 캐먹는 날'이라고도 한다.   하지감자라 하는데 6월 21일이 하지다.하지 전후면 감자가 제대로 여물어 간다.감자수확시기는 감자를 심은지 90일 ~ 100일 사이에 수확한다. 감자 수확시기는 감자를 심고 100일 만에 캔다는 말도 있지만, 기후에 따라 다르다. 감자는 .. 2024. 6. 12.
고추 병충해 종류 방제 시기 고추 병충해 종류 사진,고추 병충해 방제 시기 방제약고추 병충해 종류 방제 시기 높은 습도에 약한 특성이 있는 고추는 장마철 전후 고온다습한 기후 때문에 역병, 탄저병 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두 병 모두 균에 의한 질병으로 물을 좋아하는 특징이 있어 장마철 물에 의한 전염이 특히 높다.  역병은 지재부 부근의 줄기가 잘록해지면서 썩고 점차 줄기 위쪽으로 감염되어 포기 전체가 말라죽으며 빗물에 의해 지상부로 튀어 오르면 잎과 과일 및 줄기에도 발생한다. 탄저병은 주로 과실에 발생하며 처음에는 기름방울 같은 연녹색의 작은 반점이 생기고 점차 둥근 무늬로 확대된다. 심한 경우 궤양 증상이 나타난다. 방제는 비오기 전후에 역병 또는 탄저병 전용약제를 살포하여 식물체 감염을 막고 물빠짐이 좋도록 배수로를 정.. 2024. 5. 31.
고추 진딧물 없애는 방법(제거방법,퇴치법) 고추 진딧물 없애는 방법,고추 진딧물 제거방법 퇴치법고추 진딧물 없애는 방법(제거방법) 고추에서 진딧물은 아주심기 초기인 5월 초부터 발생하기 시작해 5월 말까지 급속하게 늘고, 기온이 높은 7월∼8월에는 다소 줄었다가 9월 이후 발생이 다시 증가하는 것으로 알랴졌다. 진딧물은 번식력이 강해 초기에 잡지 않으면  주변 밭작물에 전이를 하여 작물의 수분과 영양을 빨아 먹어 성장을 느리게 하고  방치하면  포진작물은 말라 죽으며 생명력이 강해 영하 20℃이상 에서도 밭 주변 나무에 기생하여 살다가봄이 되면 활동을 재개 한다.  진딧물을 잡기 위해  진딧물 살충제 농약을 치게 되면 (수화제) 살충제 특성의 냄새가 고추벌레 등 해충 나방을 불러 오게 만든다. 또 그 벌레를 잡기 위해 약을 치게 되면 거미와 무당.. 2024. 5. 27.
반응형

TOP

TEL. 02.1234.5678 /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